Proxy
해당 포스팅에서 언급하는 Proxy는 네트워크 프록시를 의미한다.
‘대리’라는 뜻을 가짐.
프록시 서버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중계 서버로, 통신을 대리 수행하는 서버
프록시 사용 이유
- 필터 : 리소스의 접근에 대해 허용 / 차단 관리
- 접근 제어 : 허가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근 허용 / 허가되지 않은 클라이언트는 예로 비밀번호 요구 등의 방법 사용
- 캐싱 : 인기있는 요청들을 관리해서 바로 프록시에서 응답할 수 있도록하여 네트워크 비용을 줄일 수 있음
- 익명화 : HTTP 메세지에서 신원을 식별할 수 있는 특성을 제거함으로써
Forward Proxy
: 일반적으로 Proxy라 불리는 것
: 클라이언트와 인터넷 사이에 위치하여 클라이언트 대신 서버에 요청을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것
이점
- 로컬 네트워크와 인터넷 사이에 오가는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음
- 캐싱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내용을 캐싱
- 익명성 :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을 감춤
Reverse Proxy
: 서버와 인터넷 사이에 위치해서 서버의 응답 대신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
이점
- 웹 서버의 요청에 대한 모든 처리가 가능함.
- 빠른 웹 서버 캐시를 느린 웹 서버 앞에 놓음으로써 성능을 개선할 수 잇음
- 웹 서버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숨김
- 로드 밸런싱 기능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서버 확장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스케일 업(Scale Up)입니다. 스케일 업은 기존의 하드웨어를 보다 높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하여 서버 자체의 성능을 향상 시키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스케일 아웃(Scale Out)입니다. 스케일 아웃은 기존에 운영중인 서버와 같거나 비슷한 사양의 서버를 여러 대 추가하여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입니다.
스케일 아웃을 통하여 서버를 확장했을 때 부하 분산 장치(Load Balancer)를 두어 웹 서버에 요청된 여러 작업들을 나누어서 서버의 부하를 분산 시킬 수 있습니다.
분배 방식
로드 밸런서는 웹 서버에 요청된 여러 작업들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분배합니다.
- 시험 패킷을 보내서 웹 서버의 부하 상태 파악하여 분배하는 방법
- 미리 웹서버의 능력을 설정한 후 비율에 따라 분배하는 방법
로드 밸런서의 종류
L2 : 맥 주소를 바탕으로 로드 밸런싱
L3 : IP 주소를 바탕으로 로드 밸런싱
L4 : Transport 계층에서 로드 밸런싱
L7 : Application 계층에서 로드 밸런싱
참조
1. https://www.youtube.com/watch?v=YxwYhenZ3BE
2. https://www.youtube.com/watch?v=u4O4zHdiFhk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계층 (0) | 2024.03.28 |
---|---|
블루투스(Bluetooth)의 동작 원리 (0) | 2023.05.17 |